본문 바로가기

기후정의

도시가 더운 이유, 그리고 누가 가장 피해를 입는가 도시가 더운 이유는? 1. 도시의 구조는 왜 열을 가두는가 – 복사열과 불투수면의 함정 도시는 인간이 만든 가장 복잡한 환경이다. 하지만 그 구조는 종종 자연의 순환을 거스르며, ‘더운 도시’를 만드는 주범이 되곤 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도시 열섬(Urban Heat Island) 현상이다. 도시 열섬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유리 외장 건물 등 복사열을 흡수하고 축적하는 자재들이 밀집해 있을 때 발생한다. 이 자재들은 낮 동안 태양열을 저장하고, 밤에도 천천히 방출하며 도시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높인다. 뿐만 아니라, 도시에는 투수성이 없는 포장재(불투수면)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빗물이 지하로 스며들지 못하고, 지표면이 건조하고 뜨겁게 유지되는 조건이 완성된다. 심지어 풍속까지 줄어들어, 공기 순환도.. 더보기
폭염 속 거리로 내몰린 사람들, 정책은 어디에? 1. 폭염은 단지 기온이 아니다 – 생존을 위협하는 일상의 재난 폭염은 더 이상 일시적인 날씨 변화가 아니다. 폭염은 기후위기가 만들어낸 ‘반복되는 재난’이며, 도시의 취약계층에게는 생존의 위협 그 자체다. 기온이 35도를 넘는 날, 냉방이 가능한 공간에 머무르는 사람들은 그저 ‘덥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냉방기기조차 켤 수 없는 에너지 빈곤층에게 그날은 생명을 건 하루가 된다. 서울시의 자료에 따르면, 폭염 사망자의 다수가 저소득층과 고령자, 그리고 에어컨 사용이 제한된 환경에 있는 사람들로 나타났다. 냉방권(Right to Cooling)이 보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폭염은 공평하지 않다. 폭염은 생명을 위협하는 만큼, 더 이상 ‘날씨’가 아닌 공공복지의 사안으로 다뤄져야 한다. 2. 거리로 내몰린.. 더보기
냉방비 때문에 창문을 닫지 못하는 사람들 1. 에어컨은 있지만 틀 수 없다 – 에너지 빈곤이라는 현실 키워드: 에너지 빈곤, 냉방권, 전기요금 부담 여름이 되면 언론은 폭염 경보를 알리고, 사람들은 에어컨과 선풍기, 냉방기를 준비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당연한 여름의 준비’가 아닌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냉방기기를 갖고 있어도, 전기요금이 무서워 창문조차 닫지 못한 채 여름을 견딘다. 이것이 바로 에너지 빈곤(Energy Poverty)이다. 에너지 빈곤은 단지 냉방기기를 소유하고 있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필요한 때에, 충분히,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다. 한국에너지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저소득 가구 중 약 60%는 여름철 냉방을 최소한으로 사용하거나 아예 포기하고 있으며, 냉방기기를 보유하고 있어도 하루 평균 사용시간은 2시간.. 더보기
기후위기는 약자를 먼저 덮친다. 여름 폭염의 사회적 그림자 1. 평균 기온이 아닌, 평균을 넘는 피해 – 기후 불평등의 출발점 기후위기는 모두에게 오지만, 그 피해는 누구에게나 공평하지 않다. 특히 여름 폭염은 도시 내에서 누가 더위에 노출되고, 누가 피할 수 있는가에 따라 극단적인 체감 온도와 건강 격차를 만들어낸다. 기온 35도라는 숫자는 같아 보이지만, 냉방이 가능한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과, 옥탑방·반지하·무단열 노후 주택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여름은 완전히 다르다. 도시 열섬 현상(Urban Heat Island)은 아스팔트, 고층 건물, 콘크리트 외장재 등이 태양열을 흡수하고 방출하지 못해 도시 중심의 온도가 외곽보다 최대 7도 이상 높은 상태를 지속하게 만든다. 문제는 이러한 열섬 구간이 주로 저소득층, 취약계층 주거지와 겹친다는 것이다. 즉, 폭염은.. 더보기
기후 정의는 가능할까? 여름에도 공평할 권리 1. 더위는 평등하지 않다 – 기후 불평등의 실체 기후 위기는 모두에게 영향을 주지만, 그 피해는 결코 평등하지 않다. 특히 여름의 폭염은 도시 내에서 누가 어디에, 어떻게 살아가는가에 따라 체감 온도와 생존 가능성에 극심한 격차를 만든다. 예를 들어, 같은 도시에 살더라도 옥탑방, 반지하, 단열이 되지 않은 주거지에 사는 사람은 냉방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고소득층과는 완전히 다른 여름을 경험하게 된다. 도시 열섬 현상은 이러한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며, 노약자, 장애인, 아동이 많은 저소득 주거지는 폭염에 가장 먼저, 가장 깊게 노출된다. 기온이 아닌, 피할 수 있는 권리의 유무가 생명을 가른다. 그런 점에서 기후 불평등은 단순한 날씨 문제가 아니라 사회 구조의 거울이자, 생존권의 문제다. ‘기온 35도’.. 더보기
도시의 열기, 누가 더 많이 감당하고 있을까? 1. 열은 평등하게 쏟아지지 않는다 – 기후 불평등의 현실 기온은 숫자로는 같아 보이지만, 사람마다 체감하는 더위는 같지 않다. 기후 불평등(Climate Inequality)은 기후 위기의 피해가 사회·경제적 지위, 주거 환경, 에너지 접근성에 따라 불균등하게 작용하는 현상이다. 그중에서도 폭염은 계층에 따라 가장 극적으로 차이가 나는 재난이다. 도시 열섬 현상(Urban Heat Island)은 고층 건물, 아스팔트, 콘크리트 구조물이 열을 저장하면서 도심의 기온이 주변보다 최대 7도 이상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그런데 이 열섬 효과가 주로 저소득층 주거 밀집 지역에 집중되고 있다. 옥탑방, 반지하, 노후 주택들이 밀집된 지역은 녹지, 바람길, 통풍 구조가 거의 없어, 폭염 시 실내 온도는 외부보다.. 더보기
폭염도 차별한다. 도시의 그늘 없는 동네 이야기 1. 도심의 그늘은 어디에나 있는 게 아니다 – 공간 불균형의 진실 도시의 여름은 더워도 지나치게 덥다. 하지만 그 더위조차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다가오는 것은 아니다. 도심 속의 그늘 유무는 폭염의 체감 온도를 가르고, 더위를 피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을 구분한다. 고소득 지역은 가로수가 잘 조성되어 있고, 공원이나 녹지의 접근성도 높다. 반면, 저소득 주거지나 고밀도 다세대 주택가, 비공식 정착지(반지하, 옥탑방) 등은 그늘 없는 거리, 나무 하나 없는 인도, 금속 벤치만 있는 정류장으로 채워져 있다. 서울의 한 열섬 조사에 따르면, 그늘 유무에 따라 인도 표면 온도가 10도 가까이 차이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그 그늘이 부족한 지역은 열섬 효과가 집중되는 구간과 정확히 겹쳤다... 더보기
옥탑방, 반지하, 열섬 지역 여름이 두려운 사람들 1. 도시는 왜 어떤 사람들에게만 더 뜨거운가 – 주거 구조와 열섬 격차 여름이면 누구나 덥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똑같이 더운 건 아니다. 같은 도시 안에서도 옥탑방, 반지하, 고밀도 저소득 주거지에 사는 사람들에게 여름은 단순한 불쾌감을 넘어 생존의 공포가 된다. 이런 공간들은 도시의 열섬현상이 가장 심한 지역과 겹치는 경우가 많다. 도시 열섬(Urban Heat Island)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유리 외장 건물 등 열을 흡수하고 축적하는 구조가 많아 도시 중심의 기온이 외곽보다 2~7도 이상 높아지는 현상이다. 옥탑방은 태양열을 정면으로 받는 구조로 지붕과 벽면이 뜨겁게 달궈지고, 밤에도 식지 않아 실내 온도가 40도에 육박하는 경우도 있다. 반지하는 지하 특성상 통풍이 잘 안 되고, 습기가 차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