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원한도시

주차장보다 나무! 도시를 식히는 공공디자인 1. 주차장보다 나무가 필요한 이유 도시는 자동차 중심의 구조로 설계되면서 주차장이 늘어났고, 그 결과 아스팔트와 콘크리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이러한 환경은 햇볕을 강하게 흡수하고 열을 저장해 도시의 기온을 높이는 열섬현상을 악화시킨다. 반면 같은 공간에 나무를 심으면 그늘을 제공하고 주변 기온을 낮추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실제로 주차장보다 나무가 많은 지역은 여름철 표면 온도가 15도 이상 낮게 측정된 사례도 있다. 도시를 식히는 공공디자인의 핵심은 단순히 공간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기후 환경을 고려해 설계하는 데 있다. 자동차 중심의 주차장 대신 나무와 녹지가 있는 공간을 늘리면 도시민들이 체감하는 온도는 물론, 삶의 질도 눈에 띄게 개선된다. 2. 도시를 식히는 공공디자인의 과학적 .. 더보기
도시숲이 열섬을 막는 진짜 효과 1) 도시숲이 열섬 완화에 기여하는 과학적 원리도시숲이 열섬을 막는 진짜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열섬현상이 발생하는 원리를 살펴봐야 한다. 열섬현상은 도시의 건물,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면이 낮 동안 태양열을 흡수하고 밤에 서서히 방출하면서 주변 온도를 높이는 현상을 말한다. 도시숲은 이러한 열섬현상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무는 잎과 가지를 통해 태양빛을 차단하고, 증산작용을 통해 주변 공기의 온도를 낮춘다. 특히 울창한 도시숲은 여름철 도심의 평균 온도를 2~5도 정도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바람길을 형성해 열기가 빠져나가도록 돕는다. 이는 단순한 그늘 제공을 넘어 기후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열섬현상으로 인한 온도 상승을 막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2) 도시숲이 열섬을.. 더보기
도시의 그늘 아래, 숨 쉴 틈조차 없는 사람들 1) 도시의 그늘 아래, 숨 쉴 틈조차 없는 사람들 — 보이지 않는 열과 불평등의 현장 도시의 그늘 아래, 숨 쉴 틈조차 없는 사람들은 매일 같은 거리를 걷지만 전혀 다른 여름을 살아간다. 도시는 아스팔트와 콘크리트가 열을 흡수하는 구조를 갖고 있고, 고층 건물은 바람의 흐름을 막아 열을 붙잡는 거대한 벽이 된다. 낮에 달궈진 표면은 밤에도 열을 천천히 토해내고, 그 결과로 도시는 한밤에도 온도가 떨어지지 않는 열의 섬이 된다. 같은 기온이라도 그늘이 없는 보도, 금속 벤치, 차양 없는 정류장에 서 있는 시간은 체감온도를 몇 도나 끌어올린다. 이때 도시의 그늘은 단순한 그림자가 아니라 생리적·심리적 부담을 덜어주는 1차 안전망이다. 그러나 가로수의 간격은 넓고 수관은 작으며, 공원은 멀고 수분이 빠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