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정의는 가능할까? 여름에도 공평할 권리
1. 더위는 평등하지 않다 – 기후 불평등의 실체 기후 위기는 모두에게 영향을 주지만, 그 피해는 결코 평등하지 않다. 특히 여름의 폭염은 도시 내에서 누가 어디에, 어떻게 살아가는가에 따라 체감 온도와 생존 가능성에 극심한 격차를 만든다. 예를 들어, 같은 도시에 살더라도 옥탑방, 반지하, 단열이 되지 않은 주거지에 사는 사람은 냉방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고소득층과는 완전히 다른 여름을 경험하게 된다. 도시 열섬 현상은 이러한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며, 노약자, 장애인, 아동이 많은 저소득 주거지는 폭염에 가장 먼저, 가장 깊게 노출된다. 기온이 아닌, 피할 수 있는 권리의 유무가 생명을 가른다. 그런 점에서 기후 불평등은 단순한 날씨 문제가 아니라 사회 구조의 거울이자, 생존권의 문제다. ‘기온 35도’..
더보기
인공녹지 vs 자연녹지, 어느 쪽이 도시를 더 시원하게 만들까?
1. 녹지는 모두 같은가? – 인공녹지와 자연녹지의 개념 차이 도시의 기온 상승과 열섬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으로 가장 자주 언급되는 것이 ‘녹지 확충’이다. 하지만 이때 말하는 ‘녹지’는 모두 같은 성격을 가진 것이 아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도심 속 공원, 가로수길, 옥상 정원 등은 대부분 인공녹지에 해당한다. 반면, 외곽의 숲, 하천변 자연림, 훼손되지 않은 생태 공간은 자연녹지로 분류된다. 인공녹지는 도시계획이나 건축 설계에 따라 사람이 만든 녹색 공간이다. 토양층이 얕거나 구조물 위에 조성되며, 식물 선택과 배치가 의도적으로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예로는 공원 내 잔디밭, 옥상 녹화, 벽면 녹화, 가로수 등이 있다. 반면 자연녹지는 생태적 흐름과 지형, 수분, 토양의 구조가 자연스럽게 유지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