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름이두려운사람들

여름마다 위태로운 삶, 기후 재난은 누구에게 더 가혹한가 1. 여름은 모두에게 오지 않는다 – 더 뜨거운 계층이 있다 키워드: 여름 폭염, 기후 불평등, 열섬 격차 여름은 계절이지만, 모두에게 같은 의미로 다가오지 않는다. 특히 폭염이 일상화된 시대의 여름은 누군가에게 ‘자연’이 아니라 ‘재난’이다. 도시 열섬(Urban Heat Island) 현상이 심한 지역은 기온이 외곽보다 2~7도 이상 높은 상태를 유지하며, 그 대부분은 저소득층이 밀집해 사는 고밀도 주거지와 겹친다. 옥탑방, 반지하, 노후주택처럼 단열이 안 되는 구조는 여름이면 실내가 야외보다도 더 위험한 고온 공간으로 변한다. 고소득층은 냉방 설비, 조경, 바람길이 확보된 환경에 거주하면서 폭염을 ‘불편함’으로 받아들이지만, 저소득층에게 여름은 생존의 문제이자 물리적 위협으로 작용한다. 여름이 모두.. 더보기
냉방비 때문에 창문을 닫지 못하는 사람들 1. 에어컨은 있지만 틀 수 없다 – 에너지 빈곤이라는 현실 키워드: 에너지 빈곤, 냉방권, 전기요금 부담 여름이 되면 언론은 폭염 경보를 알리고, 사람들은 에어컨과 선풍기, 냉방기를 준비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당연한 여름의 준비’가 아닌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냉방기기를 갖고 있어도, 전기요금이 무서워 창문조차 닫지 못한 채 여름을 견딘다. 이것이 바로 에너지 빈곤(Energy Poverty)이다. 에너지 빈곤은 단지 냉방기기를 소유하고 있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필요한 때에, 충분히,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다. 한국에너지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저소득 가구 중 약 60%는 여름철 냉방을 최소한으로 사용하거나 아예 포기하고 있으며, 냉방기기를 보유하고 있어도 하루 평균 사용시간은 2시간.. 더보기
왜 저소득층은 더 더운 도시에서 살아야 할까? 1. 도시의 더위는 우연이 아니다 – 구조적 기후 불평등의 시작 여름철 도시에서의 더위는 단순한 자연 현상이 아니다. 도시의 온도는 인위적인 설계, 공간 배치, 자재 선택, 인프라 밀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그리고 이 더위는 사회적 계층에 따라 불균형하게 분포된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도시 열섬 현상(Urban Heat Island)이다. 열섬은 도심의 콘크리트, 아스팔트, 건물 외피 등에서 태양열이 흡수되고 저장되면서, 도시 중심의 기온이 주변보다 평균 2~7도 이상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문제는 이런 열섬 지역이 대체로 저소득층 주거지와 겹친다는 점이다. 이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역사적 도시계획, 지가(땅값), 공공인프라 배치 등에서 기후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저소득층은 자연스럽게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