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복지

여름철 도심 온도, 교외보다 7도 더 높은 이유 1. 여름철 도심 온도, 실제로 얼마나 차이 날까? 여름철 도심 온도가 교외보다 얼마나 더 높은지 실감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오후 2시, 교외에선 나무 그늘 아래서 선선한 바람이 느껴지는데, 도심 한복판에서는 바닥에서 복사열이 올라오고 숨이 턱 막힐 정도의 더위가 이어진다. 실제로 여러 도시 기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름철 도심 온도는 같은 시각의 교외보다 평균 5~7도 이상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한다. 특히 바람이 적고 습한 날에는 그 차이가 8도 이상 벌어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할까? 핵심은 바로 도시의 구조와 재료, 그리고 인공열의 문제다. 도심은 고밀도로 건물이 배치되어 있고, 대부분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덮여 있어 낮 동안 태양열을 강하게 흡수한다. 이 열은 해가 진 후에.. 더보기
도시는 왜 밤에도 식지 않을까? 1. 열섬현상이 만든 도시의 밤, 왜 기온이 떨어지지 않을까? 도시는 왜 밤에도 식지 않을까? 이 질문은 여름이면 도심에서 사는 누구나 한 번쯤 떠올린다. 낮보다 더 답답하고 무더운 도시의 밤. 에어컨을 켜도 시원함은 잠시뿐이고, 바깥 공기는 한밤중에도 뜨겁기만 하다. 그 이유는 바로 열섬현상(Urban Heat Island) 때문이다. 도시는 주변 농촌이나 교외 지역보다 낮과 밤 모두 평균 기온이 높다. 특히 밤에는 그 차이가 더 뚜렷해진다. 왜일까? 그건 도시가 낮 동안 흡수한 열을 밤에도 천천히 방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스팔트 도로, 콘크리트 건물, 유리창으로 뒤덮인 도시는 햇볕 아래서 열을 빨아들이고, 해가 진 후에도 쉽게 식지 않는다. 이런 자재들은 열 저장 능력이 높고, 방출 속도는 느리기 .. 더보기
기후복지란 무엇인가? 에너지 접근권의 불평등 1. 기후복지는 무엇인가 – 날씨에 따라 삶이 갈리지 않도록 기후복지란 기후 변화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적 안전망과 공공 서비스 체계를 의미한다. 이 개념은 단순한 환경 보호가 아니라, 기후 변화에 따른 생활 격차와 생존권의 문제를 사회 전체가 해결해야 한다는 철학을 포함한다. 기후위기는 더 이상 미래의 위협이 아니다.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폭염, 한파, 집중호우 등은 이미 재난의 일상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변화는 특히 저소득층, 고령자, 장애인 등 기후 취약 계층에게 훨씬 더 치명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후복지는 단순한 정책이 아니라 국민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권의 연장선에 있어야 한다. 먹고사는 문제만이 복지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살 수 있는 환경 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