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속 거리의 사람들, 그들은 어디서 쉰단 말인가
1. 폭염 속 거리의 사람들, 여름의 그림자가 되다 해마다 반복되는 여름철 폭염은 이제 단순한 더위를 넘어 재난의 수준으로 다가오고 있다. 특히 도심 속에서 무더운 거리를 떠도는 폭염 속 거리의 사람들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서 생존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들은 쉴 공간조차 없이 노상에서 일하거나 거주하는 취약계층이다. 노점 상인, 택배기사, 환경미화원, 홈리스(노숙인) 등 거리에서 삶의 터전을 유지하거나 일상을 이어가는 사람들에게 폭염은 삶을 갉아먹는 현실이다. 하지만 정작 이들을 위한 그늘막, 쿨링존, 냉방 쉼터는 턱없이 부족하다. 도시 곳곳에 대형 건물은 많지만, 그 내부로 들어갈 수 없는 ‘보이지 않는 장벽’이 존재한다. 폭염 속 거리의 사람들, 그들은 정말 어디에서 쉴 수 있다는 말인가? 2...
더보기
기온 35도, 누구는 쿨링센터에 갈 수조차 없다
1. 35도는 모두에게 똑같은 기온일까? – 체감 온도의 불평등 기상청이 발표한 기온이 35도를 넘는 날, 뉴스는 “폭염 경보 발령”이라는 문구를 반복한다. 하지만 똑같은 기온 속에서도 사람마다 체감하는 더위는 전혀 다르다. 에어컨이 켜진 실내에서 일하는 사람과, 노상에서 일하는 환경미화원, 택배기사, 반지하에서 낮잠조차 잘 수 없는 독거노인은 같은 숫자의 기온 아래에서 전혀 다른 세계를 산다. 기후 위기가 본격화되면서 체감온도의 격차는 곧 생존격차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 격차는 계층, 소득, 주거환경, 접근 가능한 공공시설의 유무에 따라 심화되고 있다. 특히 폭염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고령자, 장애인, 아동, 저소득층의 경우, 기온보다도 그 기온을 “피할 수 있는 수단”의 유무가 생사를 결정짓는다. 3..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