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폭염속생존격차

도시의 열기, 누가 더 많이 감당하고 있을까? 1. 열은 평등하게 쏟아지지 않는다 – 기후 불평등의 현실 기온은 숫자로는 같아 보이지만, 사람마다 체감하는 더위는 같지 않다. 기후 불평등(Climate Inequality)은 기후 위기의 피해가 사회·경제적 지위, 주거 환경, 에너지 접근성에 따라 불균등하게 작용하는 현상이다. 그중에서도 폭염은 계층에 따라 가장 극적으로 차이가 나는 재난이다. 도시 열섬 현상(Urban Heat Island)은 고층 건물, 아스팔트, 콘크리트 구조물이 열을 저장하면서 도심의 기온이 주변보다 최대 7도 이상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그런데 이 열섬 효과가 주로 저소득층 주거 밀집 지역에 집중되고 있다. 옥탑방, 반지하, 노후 주택들이 밀집된 지역은 녹지, 바람길, 통풍 구조가 거의 없어, 폭염 시 실내 온도는 외부보다.. 더보기
더위는 평등하지 않다 여름의 계급 격차 1. 기온은 같아도 여름은 다르다 – 체감 온도의 계층화 여름 기온이 35도를 넘는 날, 모든 사람의 체감은 똑같을까? 뉴스에서는 "전국 폭염 경보"를 알리지만, 실제 더위가 주는 고통은 모두에게 평등하지 않다. 기후 불평등은 단지 지구 전체의 환경 문제가 아니라, 도시 내부의 생존을 나누는 기준이 되고 있다. 고소득층은 쾌적한 실내, 냉방 설비, 에너지 여유를 가지고 더위를 ‘피할 수 있는 선택’을 가진 반면, 저소득층은 냉방기기가 있어도 **전기요금이 두려워 틀지 못하거나, 열이 가득 찬 반지하에서 견뎌야 하는 ‘선택권 없는 더위’**를 감당한다. 서울시의 폭염 피해 조사에 따르면, 폭염 질환자 중 절반 이상이 에어컨 없이 생활하는 저소득층 고령자였다. 같은 기온에서도 누구는 숨 쉴 수 있고, 누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