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빈곤

폭염 속 거리로 내몰린 사람들, 정책은 어디에? 1. 폭염은 단지 기온이 아니다 – 생존을 위협하는 일상의 재난 폭염은 더 이상 일시적인 날씨 변화가 아니다. 폭염은 기후위기가 만들어낸 ‘반복되는 재난’이며, 도시의 취약계층에게는 생존의 위협 그 자체다. 기온이 35도를 넘는 날, 냉방이 가능한 공간에 머무르는 사람들은 그저 ‘덥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냉방기기조차 켤 수 없는 에너지 빈곤층에게 그날은 생명을 건 하루가 된다. 서울시의 자료에 따르면, 폭염 사망자의 다수가 저소득층과 고령자, 그리고 에어컨 사용이 제한된 환경에 있는 사람들로 나타났다. 냉방권(Right to Cooling)이 보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폭염은 공평하지 않다. 폭염은 생명을 위협하는 만큼, 더 이상 ‘날씨’가 아닌 공공복지의 사안으로 다뤄져야 한다. 2. 거리로 내몰린.. 더보기
기후 정의는 가능할까? 여름에도 공평할 권리 1. 더위는 평등하지 않다 – 기후 불평등의 실체 기후 위기는 모두에게 영향을 주지만, 그 피해는 결코 평등하지 않다. 특히 여름의 폭염은 도시 내에서 누가 어디에, 어떻게 살아가는가에 따라 체감 온도와 생존 가능성에 극심한 격차를 만든다. 예를 들어, 같은 도시에 살더라도 옥탑방, 반지하, 단열이 되지 않은 주거지에 사는 사람은 냉방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고소득층과는 완전히 다른 여름을 경험하게 된다. 도시 열섬 현상은 이러한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며, 노약자, 장애인, 아동이 많은 저소득 주거지는 폭염에 가장 먼저, 가장 깊게 노출된다. 기온이 아닌, 피할 수 있는 권리의 유무가 생명을 가른다. 그런 점에서 기후 불평등은 단순한 날씨 문제가 아니라 사회 구조의 거울이자, 생존권의 문제다. ‘기온 35도’.. 더보기
옥탑방, 반지하, 열섬 지역 여름이 두려운 사람들 1. 도시는 왜 어떤 사람들에게만 더 뜨거운가 – 주거 구조와 열섬 격차 여름이면 누구나 덥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똑같이 더운 건 아니다. 같은 도시 안에서도 옥탑방, 반지하, 고밀도 저소득 주거지에 사는 사람들에게 여름은 단순한 불쾌감을 넘어 생존의 공포가 된다. 이런 공간들은 도시의 열섬현상이 가장 심한 지역과 겹치는 경우가 많다. 도시 열섬(Urban Heat Island)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유리 외장 건물 등 열을 흡수하고 축적하는 구조가 많아 도시 중심의 기온이 외곽보다 2~7도 이상 높아지는 현상이다. 옥탑방은 태양열을 정면으로 받는 구조로 지붕과 벽면이 뜨겁게 달궈지고, 밤에도 식지 않아 실내 온도가 40도에 육박하는 경우도 있다. 반지하는 지하 특성상 통풍이 잘 안 되고, 습기가 차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