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기후불균형

기후 빈곤이라는 말, 이제 피부로 느껴집니다 1. 더위도 불평등하다 – 기후 불평등의 실체 기온이 모두에게 똑같이 높아진다고 해서, 모두가 같은 여름을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 ‘기후 불평등(Climate Inequality)’이라는 개념은 기후 위기의 피해가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불균등하게 분배되는 구조적 문제를 말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폭염 시기 에너지 접근성이다. 고소득층은 에어컨, 냉방 설비, 차양 시설, 녹지 환경 등을 통해 더운 여름을 비교적 쾌적하게 견디지만, 저소득층은 냉방기기를 갖고 있지 않거나, 전기요금 부담으로 에어컨을 사용하지 못하는 '에너지 빈곤' 상태에 놓이게 된다. 한국에너지공단의 통계에 따르면, 저소득층의 냉방기기 사용률은 전체 평균 대비 약 30% 낮고, 심지어 에어컨이 있어도 1일 평균 사용시간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 더보기
기후 위기 앞에서 누구는 시원하고, 누구는 견뎌야 한다 1. 같은 도시, 다른 여름 – 기후가 만든 계급의 경계 기온은 모두에게 공평하게 높아지지만, 그 더위를 견디는 방식은 계층에 따라 다르다. 같은 도시, 같은 날씨 속에서도 어떤 사람은 에어컨이 켜진 실내에서 여름을 보내고, 누군가는 창문조차 제대로 열 수 없는 방에서 찜통 같은 열기와 싸운다. 기후 불평등(climate inequality)은 단지 환경 문제가 아니라, 소득·주거·에너지 접근의 차이로 인해 폭염의 위험이 특정 계층에 집중되는 구조를 말한다. 이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차이에서만 벌어지는 문제가 아니다.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 안에서도, ‘더위는 가난한 사람에게 더 위험하다’는 구조적 현실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폭염 취약 계층은 저소득층, 독거노인, 장애인, 반지하 거주자, 옥탑방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