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불균형 썸네일형 리스트형 도시는 왜 밤에도 식지 않을까? 1. 열섬현상이 만든 도시의 밤, 왜 기온이 떨어지지 않을까? 도시는 왜 밤에도 식지 않을까? 이 질문은 여름이면 도심에서 사는 누구나 한 번쯤 떠올린다. 낮보다 더 답답하고 무더운 도시의 밤. 에어컨을 켜도 시원함은 잠시뿐이고, 바깥 공기는 한밤중에도 뜨겁기만 하다. 그 이유는 바로 열섬현상(Urban Heat Island) 때문이다. 도시는 주변 농촌이나 교외 지역보다 낮과 밤 모두 평균 기온이 높다. 특히 밤에는 그 차이가 더 뚜렷해진다. 왜일까? 그건 도시가 낮 동안 흡수한 열을 밤에도 천천히 방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스팔트 도로, 콘크리트 건물, 유리창으로 뒤덮인 도시는 햇볕 아래서 열을 빨아들이고, 해가 진 후에도 쉽게 식지 않는다. 이런 자재들은 열 저장 능력이 높고, 방출 속도는 느리기 .. 더보기 왜 도시는 시골보다 더 더울까? 1. 왜 도시는 시골보다 더 더울까? 열섬 현상이라는 과학적 이유 도시는 시골보다 평균 기온이 2도 이상 높다. 단순한 체감일 수 있지만, 실제로 과학적으로도 이 차이는 입증되었다. 이 현상은 ‘도시 열섬(Urban Heat Island)’이라고 불린다. 도시 열섬이란 도시가 시골보다 더 많은 열을 흡수하고, 더 느리게 방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기후 현상이다. 가장 큰 이유는 도시가 대부분 불투수성 재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유리 외벽 등은 태양빛을 반사하지 못하고 그대로 흡수한다. 이 자재들은 열을 저장했다가 밤이 되어도 천천히 방출하며, 도시 전체의 기온을 계속 높게 유지시킨다. 반면 시골은 흙과 식물, 수분이 많은 자연환경이 열을 흡수하지 않고 반사하거나 증발산을 통..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