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대응그늘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스팔트가 불을 품었다. 도시 폭염의 숨은 주범 1. 낮보다 더운 밤의 원인 아스팔트는 단순한 도로 포장재가 아니다. 그것은 도심의 폭염을 만드는 가장 대표적인 열 저장소다. 많은 사람이 무심코 지나치는 아스팔트는 낮 동안 태양열을 흡수하고, 밤에는 그 열을 서서히 방출하면서 도시의 기온을 유지하거나 더 높인다. 그래서 해가 진 밤에도 도시의 열기는 좀처럼 식지 않는다. 도시 열섬(Urban Heat Island) 현상은 이러한 아스팔트의 특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 아스팔트는 햇빛을 거의 95% 이상 흡수하는 매우 낮은 반사율(albedo)을 가지고 있다. 이 말은 곧 도시 한복판에 넓게 깔린 검은 도로와 주차장, 광장 등이 하루 종일 열을 모은 뒤, 그 열을 주변 환경으로 되돌려준다는 것이다. 더욱이 아스팔트는 열전도율이 높아 표면뿐 아니라 내부까지.. 더보기 그늘 하나로 온도 5도 차이? 도시 그늘의 경제학 1. 햇볕 아래의 도시 – 체감 온도를 결정하는 그늘의 역할 여름 도심에서의 체감 온도는 실외 기온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햇볕이 직사로 내리쬐는 아스팔트 위에 서 있는 것과 나무 그늘 아래 벤치에 앉아 있는 것은 5도 이상의 체감 온도 차이를 만들어낸다. 이 차이는 단순한 기분의 문제가 아니라 신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물리적 수치다. 그늘은 단순히 햇빛을 가리는 기능을 넘어, 직사복사열 차단, 표면온도 저감, 피부노출 자외선 감소 등의 작용을 통해 도시민의 열 노출 수준을 크게 낮춘다. 특히 도로 주변, 공원, 학교, 대중교통 정류소 등에서는 그늘 유무에 따라 열사병 위험률도 크게 차이 난다. 서울의 여름, 평균기온 32도일 때 햇빛을 정면으로 받는 인도 표면은 50도 이상까지 치솟지만, 인접한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