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온기온

소득이 낮을수록 여름은 더 뜨겁다? 진짜 이유 1. 기온은 같지만 체감은 다르다 – 도시 속 ‘기후 불평등’ 여름의 기온은 모두에게 동일하게 측정되지만, 그 더위를 견디는 능력은 결코 평등하지 않다. 기후 위기가 심화되고 있는 지금, 도심 속에서 ‘소득이 낮을수록 여름은 더 덥다’는 현상이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 이 현상의 배경에는 바로 기후 불평등(Climate Inequality)이 존재한다. 이는 소득, 주거 형태, 에너지 접근성 등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같은 기후 조건 속에서도 더 많은 위험과 피해를 감당해야 하는 구조를 말한다. 저소득층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은 열섬이 심한 도심 내, 녹지나 통풍 공간이 부족한 밀집 주거지인 경우가 많다. 햇볕은 직접 들어오고, 공기는 정체되어 빠지지 않는다. 반면 고소득층 거주 지역은 풍부한 나무, 잘 배.. 더보기
인공녹지 vs 자연녹지, 어느 쪽이 도시를 더 시원하게 만들까? 1. 녹지는 모두 같은가? – 인공녹지와 자연녹지의 개념 차이 도시의 기온 상승과 열섬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으로 가장 자주 언급되는 것이 ‘녹지 확충’이다. 하지만 이때 말하는 ‘녹지’는 모두 같은 성격을 가진 것이 아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도심 속 공원, 가로수길, 옥상 정원 등은 대부분 인공녹지에 해당한다. 반면, 외곽의 숲, 하천변 자연림, 훼손되지 않은 생태 공간은 자연녹지로 분류된다. 인공녹지는 도시계획이나 건축 설계에 따라 사람이 만든 녹색 공간이다. 토양층이 얕거나 구조물 위에 조성되며, 식물 선택과 배치가 의도적으로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예로는 공원 내 잔디밭, 옥상 녹화, 벽면 녹화, 가로수 등이 있다. 반면 자연녹지는 생태적 흐름과 지형, 수분, 토양의 구조가 자연스럽게 유지된 .. 더보기